분류 전체보기
-
이벤트 생성 API 개발 -3백기선(인프런 강의)/스프링 기반 REST API 개발 2021. 1. 24. 17:23
공부중인 GIT 주소 위 GIT주소에 개발 step 별로 commit 해두었다. 진행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. 1. 입력값들을 전달하면 JSON 응답으로 201이 나오는지 확인. Location 헤더에 생성된 이벤트를 조회할 수 있는 URI 담겨 있는지 확인. id는 자동생성된 값으로 나오는지 확인 2. 입력값으로 누가 id나 eventStatus, offline, free 이런 데이터까지 같이 주면? Bad_Request로 응답 vs 받기로 한 값 이외는 무시 3. 입력 데이터가 이상한 경우 Bad_Request로 응답 입력값이 이상한 경우 에러 비즈니스 로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에러 에러 응답 메시지에 에러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. 4. 비즈니스 로직 적용 됐는지 응답 메시지 확인 offline과..
-
이벤트 생성 API 개발 -2백기선(인프런 강의)/스프링 기반 REST API 개발 2021. 1. 23. 16:52
공부중인 GIT 주소 위 GIT주소에 개발 step 별로 commit 해두었다. 진행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. 1. 입력값들을 전달하면 JSON 응답으로 201이 나오는지 확인. Location 헤더에 생성된 이벤트를 조회할 수 있는 URI 담겨 있는지 확인. id는 자동생성된 값으로 나오는지 확인 2. 입력값으로 누가 id나 eventStatus, offline, free 이런 데이터까지 같이 주면? Bad_Request로 응답 vs 받기로 한 값 이외는 무시 3. 입력 데이터가 이상한 경우 Bad_Request로 응답 입력값이 이상한 경우 에러 비즈니스 로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에러 에러 응답 메시지에 에러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. 4. 비즈니스 로직 적용 됐는지 응답 메시지 확인 offline과..
-
스프링 HATEOAS백기선(인프런 강의)/스프링 기반 REST API 개발 2021. 1. 23. 14:31
스프링 HATEOAS 소개 스프링 HATEOAS란? Hypermedia As The Engine Of Application State로 REST 아키텍처의 한 구성요소입니다. 이 HATEOAS를 통해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전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해줄 수 있다. 공식 사이트 : https://docs.spring.io/spring-hateoas/docs/current/reference/html/ 아래 소스코드를 보자. 먼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할 것이다.(요청예시) 그러면 요청상태에 따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줄 것이다.(응답예시1, 응답예시2) 더 쉽게 말한다면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12345에 대한 정보조회를 요청하였고, 서버는 12345에 대한 정보를 조회한 다음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..
-
이벤트 생성 API 개발 - 1백기선(인프런 강의)/스프링 기반 REST API 개발 2021. 1. 22. 19:19
공부중인 GIT 주소 위 GIT주소에 개발 step 별로 commit 해두었다. 진행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. 1. 입력값들을 전달하면 JSON 응답으로 201이 나오는지 확인. Location 헤더에 생성된 이벤트를 조회할 수 있는 URI 담겨 있는지 확인. id는 자동생성된 값으로 나오는지 확인 2. 입력값으로 누가 id나 eventStatus, offline, free 이런 데이터까지 같이 주면? Bad_Request로 응답 vs 받기로 한 값 이외는 무시 3. 입력 데이터가 이상한 경우 Bad_Request로 응답 입력값이 이상한 경우 에러 비즈니스 로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에러 에러 응답 메시지에 에러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. 4. 비즈니스 로직 적용 됐는지 응답 메시지 확인 offline과..
-
REST API 소개백기선(인프런 강의)/스프링 기반 REST API 개발 2021. 1. 21. 21:26
REST API 소개 API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란?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)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,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. 주로 파일 제어, 창 제어, 화상 처리,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. (구글 위키백과) 쉽게 말하면 사용자(응용프로그램, 클라이언트)와 운영체제(서버)간을 이어주는 역할 REST(REresentaional State Transfer)란? 인터넷 상의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(interoperability)을 제공하는 방법 중 하나 REST API : REST 아키텍쳐 스타일을 따르는 API REST 아키텍쳐 스타일(발표영상) Cli..
-
내가 생각하는 TTD란코드 성장 이야기/박재성 - TDD, Clean Code with java- 10기 2021. 1. 16. 16:11
TDD(Test Driven Development)란? 테스트-주도 개발의 기본 흐름은 실패하는 테스트를 작성하고, 테스트를 통과하는 가장 간단한 코드를 작성한 후, 리팩터링을 통해 중복을 제거하는 것이다. 테스트-주도 개발은 객체가 이미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객체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에 관해 먼저 생각하라고 충고한다. 그러나 이 같은 종류의 충고는 역할, 책임, 협력의 관점에서 객체를 바라보지 않을 경우 무의미하다. 테스트-주도 개발은 테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책임을 수행할 객체 또는 클라이언트가 기대하는 객체의 역할이 메시지를 수신할 때 어떤 결과를 반환하고 그 과정에서 어떤 객체와 협력할 것인지에 대한 기대를 코드의 형태로 작성하는 것이다.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객체의 메서드를 호출..
-